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지난 번에 가습기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습기의 종류별 세척법, 가습기에 사용하는 물, 아이와 반려동물이 있는 집의 가습기 선택 방법을 공유하겠습니다.
가습기 세척방법
가습기 세척방법은 세척 주기, 세척 부위, 세척 구조, 물통 통세척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초음파식 가습기 세척방법
- 세척 주기 : 물과 가습기 내부가 오염될 경우 그대로 공기 중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매일 세척을 해줘야 한다!!
- 세척 부위 : 물통, 진동자, 가습
- 세척 구조 : 바닥에 진동자가 있고 물통에 가습관, 뚜껑에 분무구가 있는 구조가 많다.
- 물통 통세척 : 대부분 초음파식 가습기 물통엔 송풍구가 있는데 송풍구엔 물이 들어가면 안되기 때문에 물통 통세척은 안된다.
2. 가열식 가습기 세척방법
- 세척 주기 : 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여 주 1~2회 정도 세척을 권장합니다. 너무 세척을 하지 않을 경우 내부에 석회질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세척 부위 : 바닥의 가열판, 수로, 필터, 물통의 가습관, 분무구 등 세척해야 할 부위가 많은 단점이 있다.
- 세척 구조 : 복잡
- 물통 통세척 : 물통이 분리될 경우 통세척이 가능
3. 기화식 가습기 세척방법
- 세척 주기 : 기화식도 가열식처럼 수증기를 배출되기 때문에 주 1~2회 세척을 권장한다.
- 세척 부위 : 물통, 가습필터, 팬
- 세척 구조 : 가습관이나 분무구가 따로 없는 단순한 구조
- 물통 통세척 : 대부분 통세척이 가능하다. 가습필터는 세척을 주기적으로 하지 않을 경우 필터에 불순물이 누적되어 물 비린내가 날 수 있으니 귀찮아도 주기적으로 세척을 해줘야 한다.
4. 복합식 가습기 세척방법
- 세척 주기 : 초음파식과 마찬가지로 결과적으로 물방울을 배출하기 때문에 매일 세척해줘야 한다.
- 세척 부위 : 물통, 진동자, 가열판, 가습관 등 초음파식과 가열식의 부위와 동일하다.
- 세척 구조 : 단순한 편이다.
- 물통 통세척 : 물통이 분리될 경우 통세척이 가능하다.
가습기 물 : 수돗물 vs 정수기 물
1. 수돗물 : 살균 능력이 떨어지는 제품(초음파식, 복합식)
수돗물엔 잔류염소가 남아있어 세균이 자라는 것을 억제해주며 미네랄이 많다.
일부 연구에서 수돗물에 들어있는 미네랄이 사람 폐에 들어가 폐에 염증이나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화이트 더스트)이 있다고 하네요...
2. 정수기 물 : 살균 능력이 뛰어난 제품(가열식, 기화식)
정수기 물은 수돗물에 있는 잔류염소, 미네랄 등이 없는 깨끗한 물
가장 정확한 사용법은 제품 설명서에 기재된 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 또는 반려동물이 있는 집의 가습기 선택 방법
집에 아이나 반려동물이 있으면 가습기 선택 시 더욱 신중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가습기를 고를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아이, 반려동물의 입장으로 정리했습니다.
1. 초음파식 가습기
매일 세척을 해줘야 하며, 살균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이가 있는 집에는 적합하지 않다. 다만, UV 살균 기능이 포함된 초음파식 가습기의 경우 아이 방에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2. 가열식 가습기
살균 걱정이 없는 장점이 있지만, 뜨거운 수증기가 나오기 때문에 화상 위험이 있어 호기심 넘치는 아이나 반려동물이 있는 집에는 비추입니다!
3. 기화식 가습기
살균 걱정이 없고 필터로 인해 일부 공기청정 기능이 있지만, 가습 능력이 조금 떨어집니다. 환기를 자주 하는 거실 등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환기를 자주 하지 않는 아이 침실에는 적합합니다.
단점으로는 필터 세척을 주기적으로 해주고 교체해줘야 하며 다른 가습기에 비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복합식 가습기
초음파식과 가열식의 단점을 보완하였지만 제품에 따라 가열하는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정도까지 온도가 올라가는지 반드시 확인하여 아이나 반려동물이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인지 확인 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결론
저도 고양이 2마리와 함께 지내는데 애기들이 날씨가 추워지면서 피부질환, 각질 등이 걱정되어 가습기를 구매하였습니다.
저의 PICK은!!
복합식 가습기로 구매하였습니다!!제가 다니는 동물병원 원장님도 추천해주신 제품입니다. 온도는 55정도의 수증기로 배출되어 화상 위험이 없고, 가열은 80도로 가열하여 99.9%의 살균 기능이 있다고 해서 고르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도 가습기를 놓을 위치와 아이, 반려동물과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